-
1.
- 외국음식점의 이용을 통한 문화소비방식의 이해 : 이태원 브런치 전문점을 통하여 = Understanding patterns of cultural consumption in foreign food restaurants : a case study of Itaewon's brunch shops
- 구단비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12]
-
2.
- 한국 혼혈인의 차별적 경험과 행위자로서의 적응전략 연구 = Discriminative experience and survival strategy of South Korean "Mixed-blood" population
- 이건우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3.
- 초국적 공간의 구성과 이주 전략 : 국내 인도네시아 노동자의 사례 = Migration strategy and organization of transnational space : a case study of Indonesian migrant workers in Korea
- 유일상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11]
-
4.
- 한국 영화감독 지망생의 정체성 형성 과정 : 영화제작집단 ‘서울영상A’의 사례를 중심으로 = Formation process of film director apprentice’s identity in South Korea : a case study of filmmaking community ‘Seoul Movie A’
- 임근영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5.
- 제주 네팔 노동자의 이주 맥락과 적응 양상 = Migration circumstances and aspects of adaption for the Nepali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: a case study of Nepalis in Jeju Island
- 백승민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6.
- 신도시 개발 주체의 추진 논리와 주민들의 대응 방식 연구 : 하남교산 공공주택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Developers’ Promotion Method and the Residents’ Response in the Urban Re-development Project : Case of Hanam-Gyosan Public Housing District in South Korea
- 박선영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25]
-
7.
- 사회적 관계에 기반한 대안적 금융의 신용체계 연구 : 한 소규모 신용협동조합 사례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credit system of an alternative finance : a case of small scaled credit union
- 김이경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8.
- 이집트 코스모폴리탄 청년들의 일상 연구 : 카이로 마아디 지역의 소비, 공간 그리고 세대문화 = Everyday life of the Egypt’s young cosmopolitans : space, consumption and the youth subculture in Cairo’s Maadi district
- 이예린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9.
- 구도심지역 마을 만들기 사업의 현실과 과제 : 부천시 펄벅 문화마을 사례 연구 = The reality and challenges in the town building projects for the old city centre : a case study of Pearl S.Buck cultural village in Bucheon city
- 임지현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10.
- 안산 사동 한국인 주민과 고려인의 상호 관계 형성 연구 = A study on the formation of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residents and ‘Koryo-saram’ at Sadong, Ansan
- 박채환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2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