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9건 중 119건 출력
,1/12페이지
-
1.
- 초등 영재아동의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
- 장하영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2]
-
2.
- 다중지능을 활용한 협동학습과 집단편성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습흥미에 미치는 효과
- 박지성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0]
-
3.
- 학습 장애 학생을 위한 읽기 중재의 메타 분석 연구
- 이예다나, 高麗大學校 大學院, [2010]
-
4.
- 팀 기반 학습이 사회과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, 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: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
- 김민주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0]
-
5.
-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운영 현황과 순회교사의 인식 =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of inclusive itinerant education and perception of itinerant teachers
- 김현집,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, [2010]
-
6.
- 읽기 활동을 통합한 자기조절 쓰기전략 교수가 읽기, 쓰기능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
- 김선아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0]
-
7.
- 문제중심학습(PBL)을 적용한 사회과 수업이 장애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: 2008 개정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사회과를 중심으로
- 박신영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9]
-
8.
- 동작그림카드를 활용한 음악활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정신지체학생의 동작모방에 미치는 효과
- 이현정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9]
-
9.
- 스캠퍼 기법을 활용한 독후활동이 창의적 글쓰기 능력과 글쓰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
- 김정선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10.
-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vocabulary CBA : vocabulary CBA as an indicator of progress monitoring of intervention
- 이예다나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