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살바토르 로사의 <사울과 엔돌의 마녀>(1668)에 반영된 17세기 숭고 개념과 공포의 역할
- 박슬기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25]
-
2.
- 틴토레토의 <수태고지>연구 : 16세기 베네치아 스쿠올라 그란데 장식화의 기능을 중심으로
- 이규정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3.
- 그뢰즈의 <깨진 달걀>과 <나폴리 제스처> : 18세기 프랑스 회화에 표현된 방종한 남성
- 임수현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4.
- 17세기 하를렘의 도시 정체성 : 피터 산레담의 〈하를렘의 성 바포 교회의 내부〉
- 박미규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5.
- 17세기 플랑드르 종교 주제 동물화의 기능 : 얀 브뢰헐의 <노아의 방주로 들어가는 동물들>
- 임소희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6.
- 안드레아 만테냐의 <선덕의 정원에서 악덕들을 쫓아내는 미네르바> : 이사벨라 데스테와 16세기 이탈리아 군주의 이상
- 노진휘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7.
- 피터 파울 루벤스의 <성 일데폰소 제단화>와 톨레도, 그리고 이사벨라 대공비
- 김문정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8.
- 17세기 로마의 분수 주제 판화집 : 조반니 바티스타 팔다의 『로마의 광장, 그리고 로마의 공공장소 앞 분수들』
- 박지연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9.
- 존 싱글턴 코플리의 <왓슨과 상어>에 반영된 18세기 영국의 예술 이론과 새로운 취미
- 박윤영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10.
- 프란스 포스트의 풍경화에 나타난 17세기 네덜란드와 브라질의 문화 융합
- 강혜원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2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