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온라인 협력적 소설쓰기 환경에서의 참여 의도 및 결과물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시스템 디자인 연구 : 상호의존성 및 조망 수용 이론을 중심으로
- 김상미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2.
- 이청준 초기소설에서의 '소설쓰기' 의미 연구 = A Study on meaning of ‘writing novel’s in Lee Chung-jun’s early novel
- 소민지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3.
- 교단선진화를 위한 소설쓰기 CAI 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용방안연구
- 錢信子, 崇實大學校, [2003]
-
4.
- 장정일 소설 연구 : 성의 상품화와 소설쓰기 행위를 중심으로
- 한자영, 한국교원대학교, [2017]
-
5.
- 성장과 반성장, 그 경계에서 소설쓰기
- 정영희, 한신대학교 문예창작대학원, [2007]
-
6.
- 내면적 상처를 정화하는 고백적 소설쓰기 : 세 편의 창작소설을 중심으로 = Writing a confessional novel that covers one’s inner wounds
- 채수인, 경희사이버대학원, [2022]
-
7.
- Wiki 기반의 창의력 학습 : 협동 소설쓰기 수업 사례 분석 연구
- 김유정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5]
-
8.
- 李淸俊 小說의 주체와 소설쓰기에서 나타나는 對自性의 辨證法 = (The) subject in Lee, Cheong-joon's novels and dialectic of pour-soi through the writing novels
- 김원기, 성균관대학교 대학원, [2008]
-
9.
- 과정 중심 소설 쓰기 워크북 개발 연구
- 신수정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5]
-
10.
- 문학치료에서 글쓰기 텍스트의 해석학적 이해와 적용 = A Hermeneutic Understanding of Narrative Texts and Its Application in Literatherapy
- 배영의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