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『서울국제공연예술제』의 변천과정과 성과
- 신화정,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[2011]
-
2.
- 2000년대 이후 서울 아시테지(ASSITEJ) 참가 아동극들의 성향 변화 연구 = A study on the propensity changes of Seoul ASSITEJ Festival children’s Theatre since 2000
- 정하니, 동국대학교, [2017]
-
3.
- 해방기(1945-1948) 대구·경북 진보적민족주의 세력의 영화·연극운동 연구 = (A) study on the liberal nationalist 'cinema and theater movement' in Daegu and the Gyungbuk region during the time of national emancipation(1945-1948) in Korea
- 박창원, 계명대학교, [2012]
-
4.
- 한국어린이연극의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 = (A)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's theater of Korea in 20th century from historical perspective
- 한은숙, 成均館大學校, [2005]
-
5.
- 서울시 공연활동 지구의 공간적 특성 연구 : 홍대 주변과 대학로를 사례로 =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ctivity district in Seoul
- 진은혜,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0]
-
6.
- 해방기 연극 연구
- 이석만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1996]
-
7.
- 예술지원 매칭펀드 현황 및 개선방안 : 한국메세나협회 사업을 중심으로 =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of Matching Fund Program for Art
- 배소윤,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, [2017]
-
8.
- 공연예술축제 현황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: 거창국제연극제를 중심으로
- 조매정,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, [2011]
-
9.
- 대학로 연극 공연의 사회공헌활동 : 기부 여부와 할인율을 중심으로
- 강한이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10.
- 창작뮤지컬 관객개발을 위한 페스티벌 프로그램 연구 : 서울뮤지컬페스티벌을 중심으로 = Study on Festival’s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Korea Creative Musical Audience:Centered around the Seoul Musical Festival
- 최선률, 한양대학교,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