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조선시대 생활사 체험학습 실행연구 : 조선후기 규합총서의 염색법을 중심으로
- 김덕규, 경인교육대학교, [2012]
-
2.
- 북한의 신민국가 형성, 1967-1980 : 주체(subject)를 생산하는 정치와 문학 = Narrative construction of subject state in North Korea : a struggle for legitimacy through the creation of subject by politics and literature, 1967-1980
- 최영희, 북한대학원대학교, [2019]
-
3.
- '여행'을 통해 추구한 보들레르의 이상세계 : 『악의 꽃』을 중심으로 = Que^te de l'ide>al a< travers 'le voyage' chez Baudelaire
- 김은정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04]
-
4.
- 朝鮮光文會 硏究
- 장병극,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2]
-
5.
- 북한 역사소설 연구 = (A)study on the historical novels of North Korea
- 임옥규, 홍익대학교, [2005]
-
6.
- 박지원 『연상각선본』의 개작 양상과 그 의미
- 현안옥,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7]
-
7.
- 苏童的重述神话作品解读 : 以《碧奴:孟姜女哭长城的传说》为例 =An Explanation of Su Tong’s retelling myth novel: Focusing on Binu : 왕기
- 왕기, 건국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8.
- 金時習의 宗敎觀 연구 = A study on religious awareness of Kim Si Seup
- 김은희, 圓光大學校, [2017]
-
9.
- 회화 속의 은유와 상징을 통한 심상적 표현 연구 :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= (A) Study on Imagery Expression through Metaphors and Symbols in Paintings : Focused on the Author's Works
- 추의성, 弘益大學校 美術大學院, [2004]
-
10.
- 프랑스에서 시각 이미지로 재현된 조선 : 샤를 바라와 J.-H.로니의 활동을 중심으로
- 이지현, 성균관대학교, [201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