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,358건 중 1,000건 출력
,1/100페이지
-
1.
- 지역공동체의 자생적 사회혁신 발현과 그 영향요인 연구 : 관악구 마을버스 신설 문제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self-sustaining social innovation in local communities and its influencing factors: Focusing on the issue of establishing new local bus lines in Gwanak-gu
- 박주환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2.
- 사회혁신을 위한 디자인 교육이 사회기업가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
- 이소영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3.
- 사회적기업의 기술혁신이 경제적 성과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: -SROI측정을 중심으로
- 이유미,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, [2018]
-
4.
- 디지털사회혁신의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의 전자참여 : 서울시 '민주주의서울' 사례를 중심으로
- 송은혜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5.
- 민간주도 사회혁신클러스터의 입지요인과 근무자 만족도와의 영향관계 분석 : 성수동1가 저층주거지역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-led social innovation cluster's location factor and worker satisfaction
- 문상현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7]
-
6.
- 특화거리 재활성화를 위한 사회혁신디자인 프로세스 적용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ocial Innovation Design Process for the Revitalization of Specialized Streets
- 이애리, 영남대학교 대학원, [2025]
-
7.
- 지역의 혁신성과 사회적경제 인식은 지역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? : 공동체의식과 지역경제발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= Does social innovation and perception of the social economy affect local satisfaction? :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sense of community and local economic development
- 박수민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25]
-
8.
- 마을관리소를 통한 사회서비스 혁신체계 연구 : 근거 이론적 방법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Innovation System of Social Service in the Neighborhood Management Center : Focusing on Grounded Theory Methods
- 신수경,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(장공), [2024]
-
9.
- 사회목표 지향 공공연구개발 모델 연구 : 사회혁신 구조의 형성과 국가 역할의 진화 = A study of public R&D model for societal challenge : formation of social innovation structure and evolution of the role of the state
- 정서화, 서울과학기술대학교, [2017]
-
10.
- 협력적 거버넌스의 사회혁신 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: 청양, 홍성, 예산 사례를 중심으로
- 오정원, 공주대학교 대학원, [202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