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시문학과 도시 로마의 기억 : 베르길리우스의 『아이네이스』 8권과 프로페르티우스의 『엘레기』 4권을 중심으로 = Augustan Poetry and the Memories of the City of Rome: A Study of Virgil's Aeneid, Book 8, and Propertius' Elegies, Book 4
- 차종호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2.
- 아르카디아(Arcadia)로서 16세기 초 베네치아 회화에 나타난 전원 풍경 = (The) early 16th century Venetian Pastoral Landscape as Arcadia
- 안지원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01]
-
3.
- 朴壽根 作品의 樣式系譜 硏究 : 작품에 미친 서구사조의 영향을 중심으로
- 이시나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01]
-
4.
- 『신곡』의 영성적 의의에 대한 연구 = (A) study on the spiritual meanings of 'The Divine Comedy'
- 윤희승,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, [2008]
-
5.
- 니콜라 푸생(Nicolas Poussin, 1594-1665) 작품에 나타난 ‘아르카디아’ 주제 연구
- 우수현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6.
- 한국 근대 서양화의 소 그림 연구 = Study on the Depiction of Oxen in Westernized Modern Korean Paintings
- 윤지은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06]
-
7.
- 스베트라나 앨퍼스 Svetlana L. Alpers의 신미술사학 : 회화적 재현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Svetlana L. Alpers's Methodology in New Art History : Focused Concept of Pictorial Representation
- 김경선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09]
-
8.
- 존 플랙스먼의 <신곡> 판화집 연구 = A Study on John Flaxman's Outline Illustrations for Dante's Divine Comedy
- 염고운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9.
- 군주론의 관점에서 해석한 <에네아스 이야기> : 전쟁과 사랑을 중심으로
- 오수환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10.
- Benjamin Britten의 six metamorphoses after ovid for oboe solo op.49에 관한 연구
- 정지혜, 서경대학교,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