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이메일 텍스트에 나타난 공손전략 양상 연구
- 주옌하오, 전남대학교, [2020]
-
2.
- 국어국문학 논문 텍스트의 접속부사 사용 양상 연구 = A Study on the Use of the Conjunctive Adverbs of the Paper Text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
- 강영란, 전남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3.
- 한국어 모어 화자와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의 '사과-사과 응답' 대화 비교 연구 = A Comparative Study on the ‘Apology-Response’ Conversation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Vietnamese Korean learners
- 조하진, 전남대학교, [2022]
-
4.
- 한국어교육정책 연구 동향 고찰 = A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Research Trend
- 이은국, 전남대학교, [2018]
-
5.
- 영어 원어민 강사의 한국어 학습 방해 요인 연구 : 정체성 분석을 중심으로 = Factors Affecting Native English Teachers' Korean Language Education -With a Focus on Identity Analysis-
- 뉴 미란다, 전남대학교, [2017]
-
6.
- 國語개념 형성 연구
- 미즈카이 유카리, 전남대학교, [2020]
-
7.
- 한국어 학습자 중간언어의 대화 구성 연구 = A study on constructing dialogues in the interlanguage of Korean learners
- 임태운, 전남대학교, [2017]
-
8.
- 이글루형 탄약고 개선 방안 연구 : 결로 방지대책 방안 연구 중심으로
- 신범수,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, [2022]
-
9.
- 2014년과 2022년의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 비교 분석 : 클라우제비츠의 삼위일체론을 중심으로
- 서현태,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, [2022]
-
10.
- 북한의 핵전략과 한국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North Korea's Nuclear Strategy and South Korea's Response Plan
- 조주형, 국민대학교 정치대학원, [202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