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Novel Approaches for Solving Facility Location Problems with the Euclidean Distance = 유클리드 거리를 기반으로 한 시설 입지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방법
- Xiaopeng Chen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25]
-
2.
- 탈북 청소년의 학교 부적응 양상과 해결방안 연구 : 대전·공주지역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non-adaptation pattern of school for North Korean refugee : focused on Daejeon and Gongju area
- 백인옥, 공주교육대학교, [2019]
-
3.
- 성인 대상의 다문화 교육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: 충남, 충북을 중심으로 = The real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dults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: Focusing on Chungnam, Chungbook
- 민혜경,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3]
-
4.
- 다문화사회전문가에 대한 인식과 역할 제고 방안 연구 = A Study on the Ways to Improve Awaress and Role of Multicultural Society Experts in Korea
- 고영희,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9]
-
5.
- 한국 영화에 나타난 새터민과 조선족 분석 연구 : -<무산일기>, <댄스타운>, <차이나블루>를 중심으로- = An analysis of the defectors and ethnic Koreans in Korean films -Focusing on Korean Films <Musan Diary>, <Dance Town>, <China Blue>-
- 여경애,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9]
-
6.
- 사회통합프로그램 운영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: - 대전 지역을 중심으로 - = Korea Immigration & integration program Analysis of operational status and improvement plan - Focus on Daejeon area -
- 한민영,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9]
-
7.
- 외국과 한국의 다문화정책 비교를 통한 다문화교육 방향성 연구 = A Study on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by Comparison of Multicultural Policies in Foreign Conuntries and Korea
- 김순례,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2]
-
8.
-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실행연구 : 인권, 반편견교육을 중심으로 = The action research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5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: focusing on human rights, anti-bias education
- 서보라, 공주교육대학교, [2015]
-
9.
- 한국사회 이주민의 참정권 참여 실태와 증진을 위한 다문화 시민교육 방안 연구 =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Migrant’s Suffrage and Voting in Korean Society and Teaching Approaches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Education for to expand participation.
- 박소은,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3]
-
10.
- 2015 개정 3~4학년 도덕 교과서의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= 2015 revision 3 ~ 4 of the moral textbook content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
- 장아름, 공주교육대학교, [201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