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온라인 한국어 학습 사이트의 문법 항목 분석 연구 : 영어권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= An analytical study on the grammatical item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eb sites
- 차은정, 부산교육대학교, [2018]
-
2.
- 초등학생 말하기의 대화 분석론적 연구 = A stud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' speech : a dialogue analysis
- 이영이,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5]
-
3.
- 국어과 교수·학습 모형 개발을 통한 상호작용성 증진 연구 =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ransac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teaching-learning model of speaking
- 임정연,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5]
-
4.
- 초등학교 6학년 KSL 학습자의 학습 한국어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 학습 자료 개발 =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to Improve Korean Language Learning Proficiency for 6th Grade KSL Students
- 이정아,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1]
-
5.
- 초등학교 3,4학년 KSL 학습자의 학습 한국어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 학습 자료 개발 =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to Improve Korean Language Learning Proficiency for 3rd and 4th Grade KSL Students
- 김경진,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1]
-
6.
- 이주노동자 대상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높임 표현 분석 = The analysis of honorific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migrant workers
- 신혜인, 부산교육대학교, [2017]
-
7.
- 학령기 한국어 학습자의 공교육 이탈 방지를 위한 개별화 교육계획 수립에 대한 연구 =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 to Prevent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Leaving Public Education in School Age
- 김윤지,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1]
-
8.
- 초등학교 3, 4학년 국어교과서 정보전달 텍스트에 나타난 복합양식성 분석 연구
- 강지연,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0]
-
9.
- 정보 전달 텍스트의 복합양식성 분석 연구 : 초등학교 3~6학년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= An analytical study on multimodality of information text
- 한지수, 부산교육대학교, [2017]
-
10.
- 초급 한국어교재의 입력강화 비교 분석 연구 : 세종한국어1과 고등학교 일본어1에서의 기능과 문형 분석 중심으로 = A Study on Comparing and Analyzing Input Enhancement of Primary Korean Textbook: Focusing on the Analysis of Skill & Sentence Patterns in Se-jong Korean 1 and High School Japanese 1
- 오정민,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