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858건 중 1,000건 출력
,1/100페이지
-
1.
- 1920年代 ‘全北民衆運動者同盟’ 硏究
- 오대록, 단국대학교, [2006]
-
2.
- 민중미술과 민중 주체성 : 민중문화예술운동과 민중미술의 상관관계 연구 = Minjoong Art and Mi띠oong Subjectivity: A Study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injoong Art and Cultural Art Movement
- 이대범,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, [2009]
-
3.
- 민중신학의 과제로서의 민중문화에 관한 연구 : 운동의 신학으로서의 민중신학 정립을 위하여
- 오규섭,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, [1988]
-
4.
- 한국 민중미술운동의 미술교육적 함의에 관한 연구
- 장지영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5.
- 민중운동과 시민운동의 분리와 연대 : 1980년대 이후 부천지역 사회운동을 중심으로 = (The) Separation and Coalition Between Minjung Movement and Civil Movement : Social Movement in Pucheon since the 1980's
- 김은미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1993]
-
6.
- 민중 문화예술 활동이 한국사회의 변화에 미친 영향 : 518 민주화운동의 민중문화운동과 민중예술활동을 중심으로 = The Effects of People’s Art & Cultural Activities on Changes in Korean Society
- 윤만식, 조선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7.
- 한국 민중 교육 운동의 기독교교육적 맥락 = A Christian Educational Context of Korean Minjung Education Movement
- 이은주, 한신대학교 대학원, [2008]
-
8.
- 바이마르 시기의 독일 노동자 영화운동 : 민중영화협회(Volksfilmverband : 1928-1932)를 중심으로 = (Die) Arbeiterfilmbewegung in der Weimarer Zeit : unter besonderer berucksichtigung des Volksfilmverbandes 1928-1932
- 고유경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1994]
-
9.
- 1980년대 구로지역 민중교회 연구 : 기독교적 가치와 노동운동의 관계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Minjung Church in 1980’s Guro Area : Focusing on The Relation Between Christian Value and Labor Movement
- 박철,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5]
-
10.
- 韓國의 民主政治發展과 關聯해서 본 民衆運動의 實相에 關한 硏究 : 1980年代 以後의 現況을 中心으로
- 박찬숙, 漢陽大學校, [198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