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100건 중 1,000건 출력
,1/100페이지
-
1.
- 미묘한 성차별 경험, 자기침묵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: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= The Effect of Gender Microaggressions, Self-silencing on Psychological Distress
- 양지수,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1]
-
2.
-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우울의 관계 :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억울의 이중매개효과 = The Effect of Gender Microaggressions on Depression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
- 김지나,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4]
-
3.
- 한국판 LGB 미묘한 차별 경험 척도(K-LGB-MA)의 개발 및 타당화 =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Lesbian, Gay, Bisexual Microaggression Scale
- 이솔희, 아주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4.
- 기혼직장여성의 미묘한 성차별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일·가정 갈등의 병렬다중매개효과 = Relation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s and Psychological Burnout among Married Working Women: Paralle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Work-to-Family Conflict and Family-to-Work Conflict
- 전교빈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5.
- 여대생의 가족 내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진로정체감의 관계 : 가면 증후군과 진로포부의 매개효과
- 범수진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6.
-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미묘한 차별이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: 스트레스 평가 및 대처 전략의 조절 효과
- 김자은,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5]
-
7.
- 20, 30대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: 거부민감성과 분노반추의 이중매개 효과 = The Effects of Gender Microaggression Experiences in Women in Their 20s and 30s on Depression: Double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Anger Rumination
- 박사로,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사회계열, [2024]
-
8.
- 이공계열 종사자 여성들이 직업현장에서 경험하는 미묘한 성차별과 직무 소진의 관계 : 자기침묵, 외로움을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
- 박희진, 단국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9.
- 직장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이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 : 일의 심리학 이론의 적용 = Gender microaggression and decent work : Application of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with Korean working women
- 박지선,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2]
-
10.
- 20, 30대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: 사건에 대한 통제가능성 평가에 의해 조절된 대처 전략의 매개효과 = The effect of gender microaggressions on depression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: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oping strategy and perceived controllability of events
- 이재복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2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