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한국사회 금융화의 문화정치경제학 : 개인과 가계의 금융적 포섭을 중심으로
- 최철웅, 중앙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2.
- 經濟學에서 카오스와 非線型性에 대한 연구 = (A) study on chaotic and nonlinear dynamics in economics & finance
- 이승국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01]
-
3.
- 뉴스·여론·현실 그리고 대통령 리더십의 역동적 의제설정 과정 : 한국 경제이슈에 대한 시계열 분석, 1998~2005 = Dynamics between news-public opinion-reality and presidential leadership in setting agenda : time series analysis on economic issues in Korea
- 이완수, 고려대학교, [2007]
-
4.
- 동적 요인 모델을 기반으로 한 시계열 딥러닝 모델 개발 및 Nowcasting GDP에 대한 실증연구 = Development of a time series deep learning model based on a dynamic factor model and an empirical study on Nowcasting GDP
- 김의철,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, [2023]
-
5.
- Forecasting of the Time Series with Intervention : A study on the Korean Unemployment Rate = 개입을 갖는 시계열에 관한 예측 : 한국의 실업률에 대한 연구
- 오유진,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04]
-
6.
- 전력통계를 활용한 거시경제 시계열 분석 = An empirical study on macroeconomic time series using electricity data
- 오승환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7.
- Evaluating Associated Future Risk with Firm Performance: An Integrated Economic and Financial Approach
- Bhadra, Madhusmita, Graduate School of Yeungnam University, [2022]
-
8.
- 중공산업의 성장과 구조변화 분석 : 경제개혁이후를 중심으로 = (An) analysis on the growth and structure changes of chinese industry : with Emphasis on the Post-Economic Reform
- 김태홍, 단국대학교 대학원, [1986]
-
9.
- KMA 및 SNU-RCM을 통한 기상자료 공간분포의 예측 정확성 비교 = A comparison of forecasting accuracy of spatial distribution based on KMA and SNU RCM
- 강병진, 高麗大學校 生命環境科學大學院, [2011]
-
10.
- 소파동(wavelet) 분석을 이용한 경제·재무 시계열 자료 분석 = Wavelet approaches to economic and financial data analysis
- 이창민, 서강대학교, [201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