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301건 중 1,000건 출력
,1/100페이지
-
1.
- 1960·70년대 미국 부조리소설에 나타난 개인의 저항과 정체성 탐색 연구 : 조셉 헬러, 켄 키지, 저지 코진스키 소설을 중심으로 = Resistance against the system of power and quest for identity of the individual in some American absurdist novels of the 1960s and the 1970s : Joseph Heller's Catch-22, Ken Kesey's One flew over the cuckoo's nest, and Jerzy Kosinski's Being there
- 박용준, 中央大學校, [2004]
-
2.
- 1920년대 번역 미국소설 연구 : 그 수용양상 및 영향의 측면에서
- 김현실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, [1980]
-
3.
- 한국계 미국소설의 탈식민성 연구 : 『동양 선비 서양에 가시다』와 『영원한 이방인』을 중심으로
- 장민희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4.
- 한국계 미국소설에 나타난 사실과 허구의 관계 : 강용흘의『초당』, 이창래의『네이티브 스피커』, 차학경의『딕떼』를 중심으로 = Fact and fiction in the Korean American novel : Grass roof by Younghill Kang, Native speaker by Changrae Lee and Dictée by Theresa Hak Kyung Cha
- 신혜정, 淑明女子大學校, [2008]
-
5.
- 한국의 아시아계 미국문학 연구와 아시아계 미국소설 다시 읽기 = Asian American literary studies in korea and re-reading Asian 미국소설s
- 이수미, 고려대학교, [2006]
-
6.
- 한국계 미국소설에 나타난 정체성의 확립 : 이창래의 『네이티브 스피커』 를 중심으로 = Identity Formation in Korean American Novels : With Special Reference to Lee Chang-rae's Native Speaker
- 박숙현,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7.
- Rewriting Innocence : Innocence after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in 1880-1920 American Novels = 순수의 재구성: 1880-1920년대 미국 소설에 나타난 지식 획득 이후의 순수 연구
- 유이나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8.
- 미국단편소설을 통한 영어독해력 향상을 위한 연구 = A Study of Improvement of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through American Short Novels
- 이지은,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1]
-
9.
- 현대 미국 소설에서의 외상과 치유 : 토니 모리슨의 빌러비드, 레슬리 마몬 실코의 의식, 돈 드릴로의 떨어지는 남자 = Trauma and Healing in the Contemporary American Novels : Toni Morrison’s Beloved, Leslie Marmon Silko’s Ceremony and Don DeLillo’s Falling Man
- 이진숙, 부산대학교, [2011]
-
10.
- 20세기 초 미국소설에 나타난 생태여성주의 = Ecofeminism in early twentieth century American novels
- 최은주, 慶南大學校, [200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