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4건 중 184건 출력
,1/19페이지
-
1.
- 일본어학습자를 위한 대역문고에서 나타난 문화관련 등가분석 : 다락원 「女生徒」를 중심으로
- 김연희, 부산외국어대학교, [2010]
-
2.
- 대형서점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 체험 특성 연구 : 일본의 츠타야와 한국의 교보문고 비교분석을 중심으로
- 김지하,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, [2019]
-
3.
- 도시의 문화환경을 위한 정책모델 제안 = (A) proposal of a policy model for the cultural environment in city
- 백유진,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, [2002]
-
4.
- 近代 韓日 兒童文化敎育 關係史 硏究 : 1895-1945 = (A) study of the hist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dern Korean & Japanese children's cultural education : from 1895-1945
- 대죽성미, 延世大學校 大學院, [2002]
-
5.
- 공동주택단지의 공동체문화 활성화를 위한 부대복리시설 계획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the Planning of Service Facilities to Activate the Community Culture of Apartment Complex : Focuesed on the Apartment Complex more than 500 Household in Cheon-an area
- 조진만, 남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08]
-
6.
- 한국 문화행정체제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= (A)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al Administration System
- 윤효석,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, [2000]
-
7.
- 韓國 文化行政體制의 變遷過程에 관한 硏究 : 組織構造와 機能을 중심으로
- 김형수, 단국대학교 대학원, [1997]
-
8.
- 1960~70년대 독서국민운동과 마을문고 연구
- 김경민,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2]
-
9.
- 조선조 후기 및 근대 서울·경기지역의 문중문고 전적에 관한 서지적 연구 = A bibliographic study on the old book collections collected by the families in the area of seoul and gyeonggido from 1500 to 1945
- 임영란, 한성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10.
- 전라북도 사립문고 활성화 방안 연구
- 정기원, 전주대학교 대학원, [200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