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8건 중 108건 출력
,1/11페이지
-
1.
- 조선후기 嶺南의 佛畵와 僧侶門中 연구
- 이용윤, 弘益大學校 大學院, [2015]
-
2.
- 문중별 유교건축의 건립특성에 관한 연구 : 전남지방을 중심으로 = (A) study on the building characteristics of family confucian architecture in Chonnam province
- 최명순, 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03]
-
3.
- (The) interface of syntax, semantics, and pragmatics in the use of medially positioned discourse markers in English = 영어 문중에 위치한 (접속부사의) 화용론적 표지의 사용에 있어서 통사적, 의미적, 그리고 화용론적 상호작용
- 김원석, Graduate School, Yonsei University, [2006]
-
4.
- 19세기 漢文中短篇小說 연구 = A study on 19th century medium-length novels written in Chinese
- 한의숭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1]
-
5.
- 17세기 중후반 禮訟의 전개와 政治地形의 변화 : 禮訟의 政治史的 파장과 國王-朋黨 力學關係 변화를 중심으로 = Development of Yesong in the mid to late 17th Century and Change of Political Terrain
- 양선비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6.
- 여말선초 赴京 漢語通事의 활약 = 丽末鲜初赴京汉语通事的活跃
- 유림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7.
- 麗末鮮初 私兵革罷와 公家之兵의 구현
- 정일태, 서울대학교, [2019]
-
8.
- 조선후기 가계계승과 종부의 역할 = Family Succession and the Position of Jongbu in Late Joseon Society
- 김보람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9.
- 상식과 감정으로 읽은 조선 초 국상 논의 = Common Sense and Feeling: Motivation for Seeking 'Proper' Funeral Rites for the Kings and the Queens in Early Joseon
- 안소희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10.
- 조선 초기 군사훈련의례와 병학 = ‘Military training rituals’ and Military science(兵學) in early Chosŏn
- 허대영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1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