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6건 중 186건 출력
,1/19페이지
-
1.
- 16세기 중앙아시아 신흥국가들의 몽골제국 계승성 연구 : 우즈벡ㆍ카자흐칸국과 무굴제국의 지배계층을 중심으로 = (The) Turco-Mongolian States in the 16th Century Central Asia and the Legacy of the Mongol Empire : The Ruling Class of the Uzbek, Kazakh Khanates and the Mughul Empire
- 이주엽, 단국대학교 대학원, [2003]
-
2.
- 몽골제국의 고려 지배와 王綧의 정치적 위상
- 김웅학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3.
- 13~14세기 몽골제국 勅令制度 硏究
- 김석환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4.
- 고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몽골제국사에 투영된 중화적 시각 분석
- 임우정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9]
-
5.
- 고등학교 역사교과서의 몽골제국 서술에 나타난 중국 중심 시각에 대한 비판적 고찰 : 2015 개정 교육과정 <세계사>와 <동아시아사>를 중심으로 = A Critical Study on the Chinese-centric Perspective in the Descriptions of the Mongol Empire in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:Focusing on the 《World History》&《East Asian History》 in 2015 Revised Curriculum
- 박형섭,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0]
-
6.
- 14세기 초ㆍ중반 중앙티베트 정치사와 몽골제국 : 팍모두 萬戶長 장춥 걜챈의 행적을 중심으로 = Political History of Central Tibet and the Mongol Empire in the early and mid-14th-Century: Focused on the deeds of Phagmodru Myriarch Jangchub Gyeltsen
- 이승종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7.
- 몽골제국시대 동제 유물의 제작기법 연구
- 삼발훈데브 세르담바,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1]
-
8.
- 글로벌 군사물류 체제에 관한 비교 연구 : 몽골제국의 정복전쟁과 미국의 이라크 전쟁과의 비교를 통하여 = A Comparative study on the global military logistics system
- 송경곤, 성균관대학교, [2008]
-
9.
- 몽골帝國時期 옷치긴 王家에 대한 一考 : 勢力基盤과 그 變化를 中心으로
- 고명수, 高麗大學校 大學院, [2003]
-
10.
- 몽골제국 시기의 '아카(aqa)'와 그 역할 : 바투의 역할을 중심으로 = 蒙古帝国时期的“aqa”及其作用
- 서윤아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