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52건 중 652건 출력
,1/66페이지
-
1.
- 이주ㆍ이민과 만주지역사회의 형성 : 한ㆍ중ㆍ일의 경로를 중심으로
- 안명철,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[2011]
-
2.
- 17-18세기 淸朝의 滿洲地域에 대한 政策과 認識 : 건륭기 만주족의 위기와 관련하여
- 이훈, 高麗大學校 大學院, [2013]
-
3.
- 1930년 전후 滿洲地域의 民族運動過程에서 전개된 韓人 아나키스트運動에 관한 硏究 : 北滿의 韓族總聯合會와 在滿朝鮮無政府主義者聯盟을 中心으로 = (A) study of the Korean anarchist movement in course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in manchuria about 1930 : with focus on the all-Korean associations (韓族總聯合會) in the north manchuria and the Korean anarchist fedration in manchuria(在滿朝鮮無政府主義者聯盟)
- 유영구, 漢陽大學校 大學院, [1986]
-
4.
- 일제 강점기 만주지역 천도교인의 민족운동연구 = (A) study on Cheondogyo(天道敎) believers' national movement under Japanese rule in Manchuria(滿洲) region
- 성주현, 경기대학교 대학원, [2002]
-
5.
- 1920년대 만주지역 청년의 여성관과 여성문제 : 성경시보(盛京時報)를 통하여 본 사례연구 = (A) Study on Young Intellectuals' View of Woman and Woman-Related Problems in Machuria of the 1920s : A Case Study of Chengjing shibao
- 김동학, 東亞大學校 大學院, [2004]
-
6.
- 滿州地域의 武裝獨立運動에 關한 硏究 : 1920年代의 靑山理 戰鬪를 中心으로
- 임황주, 建國大學校, [1981]
-
7.
- 滿洲地域 韓人의 民族運動 硏究 : 民族主義 및 社會主義 系列의 動向과 統一過程을 中心으로
- 신주백, 成均館大學校 大學院, [1995]
-
8.
-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만주지역 독립운동사 서술과 자료 분석 = Description about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ria in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and data analysis
- 박나정, 수원대학교, [2014]
-
9.
- 일제 하 만주지역에서의 독일 상트 오틸리엔 베네딕트회 수도원의 활동 : 교육사업을 중심으로, 1921~1945년
- Jukas, Isabella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10.
- 中國 共産黨의 滿州進出과 滿州地域 韓人 社會主義運動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relationship of Chinese communist party and Korean socialist organizations in Manchuria during 1920s
- 왕쉬안, 韓國學中央硏究院, [201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