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숭고와 미적자유 : 칸트와 실러의 미학 이론을 중심으로
- 김경랑,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[2013]
-
2.
-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초기 단편 Fragmente에 나타난 낭만적 아이러니
- 김한올,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[2015]
-
3.
- 웃음에 관한 미학적 성찰
- 정현경,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, [2009]
-
4.
- 슈테판 츠바이크의 『초조한 마음』에 나타난 연민 의미의 분석
- 박지선,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[2023]
-
5.
- Probleme der Literaturgeschi chts schreibung Uberlegungen zur Osterreichischen Literatur in deutschen Literaturgeschichten am Beispil von J.Nes troy, Ao stifter and K. Krans dargestellt
- 라영균, Univ. of Wien, [1998]
-
6.
- 加入電話 需要豫測에 關한 實證的 硏究
- 나영균, 延世大學校 經營大學院, [1991]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