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2건 중 112건 출력
,1/12페이지
-
1.
- 라모의 음악비극 《이폴리트와 아리시》 연구 : 주요 등장인물의 조표와 조성으로 발현된 계몽주의
- 유선옥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2.
- 티베트 전통 연극의 영웅 인물에 대한 연구 : 8대 라모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= Study on Heroic Figures in Traditional Tibetan Theatre
- 덕심탁갈, 중앙대학교 대학원, [2025]
-
3.
- 장 필립 라모의『화성론』(1722)에 나타난 사변 이론과 실제 이론의 상호 관계 연구 : 인용 네트워크 분석에 의해 = (A) study on the interrelations between speculative and practical music theory in Jean-Philippe rameau's『traite l'harmonie』(1722) : as revealed by citation network analysis
- 이현주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10]
-
4.
- 시와 음악의 관계를 통한 프랑스 바로크 세속 칸타타의 연구 : 장 필립 라모(Jean Philippe Rameau)의 소프라노 칸타타를 중심으로 = (A) Study of French baroque cantatas in terms of relations between poetry and music : focused on Jean Philippe Rameau's soprano cantatas
- 이효진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07]
-
5.
- 라모의 <새로운 클라브생 모음곡집> 제1번 모음곡에 관한 분석 고찰 = Analysis of the 1st suite of Rameau's Nouvelles suites de Pi?ces de Clavecin
- 이보리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11]
-
6.
- 쿠프랭과 라모의 클라브생 작품을 통한 바로크 장식음 연구 = (A) Study on Baroque ornaments from Clavecin works by Couperin and Rameau
- 오영란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03]
-
7.
- 장 필립 라모의 세 개의 클라브생 작품집 연구 = A Study of Jean-Philippe Rameau's Three Clavecin Suites
- 박해진,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4]
-
8.
- 장 필립 라모(Jean-Philippe Rameau)의 화성 구조에 관한 연구 = Study on the Harmonic structure of Jean-Philippe Rameau
- 곽지현, 강원대학교, [2006]
-
9.
- 『라모의 조카』 Le neveu de Rameau 硏究 : 敍述體文章과 <Pantomime>를 中心으로
- 서명수, 高麗大學校, [1988]
-
10.
- 디드로小說 '라모의 조카'硏究 : 寫實主義的 觀點을 中心으로
- 김태형, 全北大學校, [198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