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17건 중 317건 출력
,1/32페이지
-
1.
- 한국 범종(梵鐘)의 ‘울림’을 조형화 한 도자조형 연구 = A Study on Ceramic Sculpture that Sculpted the ‘Resonance’ of the Korean Beomjong(梵鐘)
- 김진철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2.
- 전통현악기 울림통 제작에 관한 연구 : 국수무늬 울림통을 중심으로 = (A) study on the Sounding Board Manufacture of Traditional Stringed Instruments
- 김복곤,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[2002]
-
3.
- 칸딘스키(W. Kandinsky)의 ‘총합무대’ 연구 : 작품 <누런 울림 Der gelbe Klang>을 중심으로
- 백좌현, 단국대학교, [2006]
-
4.
- 두 여성 농부의 생애사에 나타난 전환학습 경험
- 이로사, 아주대학교, [2020]
-
5.
- 어, 울림(协和)
- 곽지환, 서울장신대학교, [2019]
-
6.
- 선(線)이 주는 양감을 통한 도자 조형연구 = A study on Ceramic Sculpture : Volume Created by Line
- 오윤정, 건국대학교, [2004]
-
7.
- 과학적인 발성법에 의한 팟사지오의 연구
- 이규희,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02]
-
8.
- Arvo P?rt의 Tintinnabuli 기법 연구 : <Tabula Rasa>, <Passio>를 중심으로 = Research on Arvo P?rt’s Tintinnabuli Composing technology : Based on ‘Tabula Rasa’ and ‘Passio’
- 방수경,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5]
-
9.
- 이신우의 작품 《코랄환타지 3번,“알렐루야”》(Chorale Fantasy No. 3, Alleluia)에 대한 연구
- 이민지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10.
- 민수기 11장 24~30절에 대한 공시적 지평에서의 양식비평적 해석 : 구약성서에 나타난 성령
- 황선영, 감리교신학대학교,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