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天安地域의 3·1 運動 = The 3·1 Independence movement in Chonan area.
- 도윤정, 충남대학교, [1999]
-
2.
- Impact of Relations between the church and the March fer<et movement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on the Re<story of Development of Korean protestant church : Chang,jae young
- Chang,jae young, Moscow M.V. Lomonosov State Univ, [1995]
-
3.
- 일제강점기 해외소재 한국관련 기록의 통합활용에 관한 연구 : 컬렉션 기술을 중심으로 = A Study for Integrated Use of Overseas Record on Korea During the Japanese Rule : Focus on Collection and Description
- 조혜경,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, [2008]
-
4.
- 구술기록의 Digital화에 따른 활용 및 서비스에 관한 연구
- 문동원, 중부대학교 대학원, [2009]
-
5.
- 교수요목기 ~ 2차 교육과정기 중학교 국사교육의 변천 = The Changes of Middle School Education for Korean History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2nd Curriculum Period.
- 양윤선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6.
- 대한민국임시정부기록물의 단체명 출처전거기술레코드 설계 방안에 대한 연구
- 공귀영,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, [2008]
-
7.
- 서영해 연구
- 김민호, 단국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8.
- 民族正氣 確立方案에 관한 硏究 : 愛國先烈 功勳宣揚社業을 中心으로 = (A)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spirit : focused on the programs for enhancement of patriots' merits
- 안중현, 延世大學校 行政大學院, [2002]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