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4건 중 184건 출력
,1/19페이지
-
1.
- 쟁점 기반 역사학습을 통한 독립운동사 교육 :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사례로
- 이금성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2.
- '독립운동사' 서술을 둘러싼 논쟁과 대안 : 현행 '한국근현대사' 교과서와 기파랑 '대안교과서'를 통하여 = Controversies and Alternatives concerning Description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: comparing current textbook of Korean Modern History with The Alternative Textbook from Kiparang
- 손화성,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9]
-
3.
- 부산지역 여성독립운동사 연구
- 김혜진, 경성대학교, [2019]
-
4.
- 在滿韓人의 抗日獨立運動史硏究 : 1910-1920年의 獨立運動團體를 中心으로 = A stud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s of Korean people in Manchuria
- 오세창, 成均館大學校, [1988]
-
5.
-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만주지역 독립운동사 서술과 자료 분석 = Description about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in Manchuria in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and data analysis
- 박나정, 수원대학교, [2014]
-
6.
- '서대문형무소'를 활용한 독립운동사 수업 모형 연구 = Study on the learning model of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by using 'Seodaemun prison'
- 박수진, 성신여자대학교, [2011]
-
7.
- 白凡 金九의 生涯와 思想 : 獨立運動史에 있어서 金九의 位置
- 최진선, 慶熙大學校, [1974]
-
8.
- 제7차 교육과정기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1930,40년대 민족독립운동사의 서술실태와 개선방안 = The descriptive contents and improvement scheme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of 1903s and 1940s in korean modern contemporary history textbooks in 7th curriculum period
- 서현성,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7]
-
9.
-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의 1970~80년대 여성 노동 운동사 다시 쓰기 : <우리들은 정의파다>, <꽃다운>, <스와니:1989 아세아스와니 원정투쟁의 기록> = A study on independent documentary films in South Korea's rewriting of the history of women's labour movement : We are not defeated(2006), We shall overcome(2009), Swany-recording of protest trip of Asia Swany in 1989(2014)
- 김선명, 한국예술종합학교, [2018]
-
10.
- 鄭華岩의 生涯와 獨立運動: 활동과 증언을 중심으로 = The Life of Jeong Hwa-am and His Contributions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: Focused on Activities and Testimonies
- 박나현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