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개화기 의제개혁 이후 양복 착용과 그 사회·문화사적 의미
- 조정현, 東國大學校, [2019]
-
2.
- 乙巳條約 이후 일본의 '韓國倂合' 과정 연구 : 日本人 실무관료의 활동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process for the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after the Korea-Japan treaty of 1905 :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Japanese government officials in charge
- 한성민, 東國大學校, [2016]
-
3.
- 여말선초의 對明 관계와 人臣無外交 관념
- 임현진, 동국대학교, [2018]
-
4.
- 17세기 전반 조선의 對淸騎兵 전술 전개
- 박준희,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3]
-
5.
- 朝鮮 肅宗의 君臣義理 定立과 尊周大義
- 김성희, 동국대학교, [2020]
-
6.
- 한국 근대조각의 태동과 전개에 관한 연구
- 신은숙,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2]
-
7.
- 大韓帝國의 海軍 창설과 軍事的 의의
- 홍성민,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3]
-
8.
- 조선후기 황해도 詳定法 시행과 지방재정
- 엄기석,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3]
-
9.
- 17세기 청ㆍ조선 관계 연구 = A Study on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Qing and Joseon in the 17th Century
- 이명제, 동국대학교, [2021]
-
10.
- 朝鮮後期 士族의 喪禮 硏究 = A Study on Mourning Ritual of the gentry in the Late Joseon Dynasty
- 김진우,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