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‘스토리텔링’을 적용한 다문화 소설 교육방법 : 나마스테(2005)와 완득이(2008)를 중심으로 = Multicultural novel teaching method using storytelling
- 홍수진,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7]
-
2.
- 박범신의 『나마스테』 연구
- 김혜원, 한국교원대학교, [2016]
-
3.
- 다문화소설에 나타난 이주민의 갈등과 그 해결 양상 비교 연구 : 박범신의 <나마스테>와 이창래의 <영원한 이방인>을 중심으로 =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Conflict of Immigrants Expressed in Multicultural Novels and Their Solving Processes : Focused on <Namaste> of Pak Beomsin and <Native speaker> of Lee Changre
- 김현정,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3]
-
4.
- 소수자 이해를 위한 다문화시대의 소설교육 연구 : 『나마스테』,『마당을 나온 암탉』을 중심으로 = (A) study on novel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age for the understanding of minorities : the case of novels 『Namaste』 and 『A hen getting out of the yard』
- 이승연,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1]
-
5.
- 고등학교 문학교과서 수록 다문화 관련 제재에 관한 문학교육적 접근
- 정유진,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6]
-
6.
- 트랜스내셔널 소설의 서사 구조 연구 = (A) study on narrative structures of transnational novels
- 이영아, 서울시립대학교, [2014]
-
7.
- 다문화 소설의 갈등 양상과 인물 대응 방식
- 이은경,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6]
-
8.
- 현대소설을 통해 본 이주노동자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= Korean's Attitude toward Migrant Manual Worker in Korean Modern Stories
- 천연희, 전북대학교 대학원, [2008]
-
9.
- 문학교육과 다문화소설 : 2007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
- 한혜성,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3]
-
10.
- 한국 다문화소설의 서사담론 연구
- 김민라, 동신대학교,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