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활동에서 나타난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연구 = A study on mathematical creativity focused on the using open-ended problem types task
- 김응관, 청주교육대학교, [2019]
-
2.
-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학보고서 쓰기에 대한 연구 = A Study on the Mathematical Journal Writing in Elemenary School Students
- 김기옥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9]
-
3.
-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대한 연구 : 교과서 재구성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teaching the area of plane figure : focused on the textbook reconstruction
- 전미정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0]
-
4.
- 2007년 개정 수학과 교과서의 현장 적용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의사소통 분석 : 탐구활동, 문제해결, 이야기마당, 놀이마당을 중심으로 = An analysis on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classrooms using new mathematic Textbooks : Focusing on Exploration, Problem Solving, Story Telling, and Playing Sections
- 유지연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0]
-
5.
- 수학적 모델링 활동이 학생들의 집단창의성 발현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-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 중심으로- = The Influence of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on the Development of Group Creativity and Mathematical Attitude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: Focused on the Third Grade Students
- 김소영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2]
-
6.
- 개방형 문제 유형과 학생들의 학습 수준에 따른 수학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Focused on the Open-ended Problem Types and the Student's Level of Understanding
- 김연주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9]
-
7.
- 비형식적 지식을 활용한 학생들의 분수의 나눗셈 문장제 해결과정에 대한 연구 = A study on the student's informal knowledge shown in the word-problem solving on division of fraction
- 신은주,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5]
-
8.
- 수학 중심 STEAM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 : 수학적 창의성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th-centered STEAM program : focused on mathematics creativity
- 박예진, 청주교육대학교, [2017]
-
9.
- 한국 초등학교 수학수업에서 발현되는 교사 지식의 분석틀 탐색 = Exploration of the Knowledge Quartet in Korea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
- 정유경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10.
-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서 수학적 연결성 구현을 위한 지도방안 탐색 = Teaching Methods Focused on Mathematical Connecti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
- 김유경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1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