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병렬 컴퓨팅 기법을 적용한 다중 불량데이터 처리 및 연산 속도 향상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improvement of multiple bad data processing and computation speed using parallel computing
- 정희윤, 순천향대학교, [2020]
-
2.
- 불량데이터의 고속 검출이 가능한 상태추정기의 개발과 그 기능 확장에 관한 연구 = Development of a State Estimator Having Fast Bad Data Detection Ability and Its Functional Expansion
- 김병호, 순천향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3.
- Papert의 마이크로월드와 Jonassen의 구성주의 학습환경 설계 모형에 따른 교과 융합형 인공지능 수업 설계 = Developing lesson plans with AI based on Papert's microworld and CLEs
- 이태우,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3]
-
4.
- 계통 분할을 통한 고속 상태추정 기법 = A High-Speed State Estimation Technique Using System Division
- 정정운, 순천향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5.
- 초등교육과정에 적용하기 위한 디지털 배지의 설계 = Design of digital badge for application to elementary education curriculum
- 이재운,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3]
-
6.
- 벤즈알데하이드에서 205 nm 광자를 이용한 수소 원자 생성 반응에 대한 광분해 동역학 연구
- 윤상혁, 강원대학교, [2017]
-
7.
- 스마트 건설시대를 대비한 건설 3D 프린팅 운영인력 교육과정 개발 = Development of construction 3D printing operators training curriculum in preparation for the smart construction era
- 김진국,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3]
-
8.
- 중학교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미래형 학습공간 구축 방안 = How to build a future-oriented learning space for middle school AI education
- 변진환,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3]
-
9.
- 챗봇을 활용한 튜터-튜티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= Effect of Tutee Activities using Chatbot o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
- 박찬성,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3]
-
10.
-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전력계통 해석 프로그램 개발 = Electrical power system analysis program for the users' convenience
- 노찬우, 순천향대학교, [201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