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한국 기후소설 담화분석과 독자 경험에 관한 연구 : 김초엽의 『지구 끝의 온실』, 정세랑의 「리셋」, 김기창의 『기후변화 시대의 사랑』을 중심으로 = Discourse Analysis of Korean Climate Fiction and Reader Experience Study
- 임현경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2.
- 과학 소설을 활용한 타자 이해 교육 방안 연구 : 김초엽 단편 소설들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 of Understanding Others Using Science Fiction: Focusing on Kim Cho Yeop's short stories
- 신혜민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3]
-
3.
- 『능엄경』의 수행체계연구 : ‘발심’을 중심으로 = A study of Surangamasutra's meditation
- 이종찬, 원광대학교, [2015]
-
4.
- 한중 SF 뉴웨이브 여성 작가의 이화(異化) 시점 비교 연구 : 『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』과 『고독 깊은 속』을 중심으로
- 김채이, 숭실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5.
- Multiplexed Detection of Neglected Tropical Diseases by Aptasensor Based on Metal-containing Nanolabel
- 김초엽,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8]
-
6.
- 한국 SF소설을 활용한 내러티브 기반 융복합교육 연구
- 최예슬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7.
- 2016년 이후 여성서사의 신체연결성 연구 : SF 상상력을 중심으로
- 하지우, 동아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8.
- 만화풍 일러스트레이션을 통한 소설 시각화 연구 : 『지구 끝의 온실』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of Novel through Cartoon-Style Illustration : Focused on the novel 『Greenhouse at The End of the Earth』
- 김가영,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, [2022]
-
9.
-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에코페미니즘 소설 교육 방안
- 박소연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10.
-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피동법 대조연구 : 소설에서의 피동문을 중심으로 = A Contrastive Study of The Passive Forms of Korean and Vietnamese
- 쩐티수언,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