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대규모 복합 단지 개발내의 통합형 폐기물 처리 시설 개선방안연구 : 하마비 허스타드와 은평 뉴타운의 사례비교를 중심으로 = The Resource Recovery System based on the Automated Vacuum Collection Facility in the Large Scale of Mixed-Use Site : Focusing on a comparative study in a Practical Case of Hammarby Sjöstad and Eun-Pyoung New town
- 김은영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3]
-
2.
- 포틀랜드 도시계획에서 시민참여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
- 최효선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0]
-
3.
- 스타트업의 지역재생 연계활동에 대한 연구 : Blank, Urbanplay, Build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local regeneration linkage activities of start-ups
- 홍예진, 서울시립대학교, [2019]
-
4.
- 참여 주민 및 주택의 관점에서 본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특성 분석 =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Saetteul village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participating residents and houses
- 고성현, 서울시립대학교, [2020]
-
5.
- 민관학 협력 도시개발 일본 사례 연구 : 카시와노하를 중심으로 = A case study of urban development through public-private-academic partnerships in Japan : focused on Kashiwanoha
- 신승원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4]
-
6.
- 공개공지의 지속 가능한 활성화를 위한 운영체계 분석 : 뉴욕 공개공지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= Analysis of operating systems for sustainable activation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: focused on the New York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cases
- 유재호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3]
-
7.
- 사회적 공간으로 바라본 공공건축물의 외부공간에 관한 연구 : 서울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Open Space of Public Buildings as Social Space: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Seoul
- 어윤형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3]
-
8.
- 생활폐기물 처리과정에서의 도시 공간적 불균형 현상 연구 : 서울시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을 중심으로 = Study on Urban Spatial Disparity Phenomenon in Municipal Waste Treatment Process:Focusing on the Food Waste Treatment Facilities of Seoul
- 박상헌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4]
-
9.
- 도시아카이브의 효과적 공유를 위한 대화형 지도 활용사례 연구 : 해외 도시아카이브의 서비스를 중심으로 = A case study on the use of interactive maps for the effective sharing of urban archive : focus on the case of interactive map service in foreign urban archives
- 조현호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4]
-
10.
-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 이후 도시 공간 이용량 변화 연구 : 서울시 제3의 장소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Change in Urban Space Usage after COVID-19 using Navigation Data : Focused on The Third Place in Seoul
- 배은정,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