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한국 명절의 역사와 휴일의 변동 연구 = A study on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holidays and change of vacation days
- 하수민,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[2014]
-
2.
- 미술치료가 새터민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: 조형 활동을 중심으로
- 조영숙, 전남대학교 산학협력대학원, [2012]
-
3.
- 성찬례 거행의 남용과 전례 규범 중요성에 관하여 : 훈령 「구원의 성사(Redemptionis Sacramentum)」를 중심으로 = On the abuse of the Eucharistic celebration and the importance of liturgical norm - Focusing on the instruction 「Redemptionis Sacramentum」
- 하문,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4.
- 전통시대 향(香)문화의 다양성과 생활문화사적 연구
- 노윤주, 한국학중앙연구원, [2020]
-
5.
- 근대 한복재봉 교육의 등장과 한복생활문화 연구
- 김윤희,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[2024]
-
6.
- 한몽 민간달력과 시간문화 비교
- 푸렙수렝 아리옹자야,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, [2014]
-
7.
- 한국과 폴란드의 산속(産俗) 연구
- 베아타 강 보구슈,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, [2016]
-
8.
- 실천적이고 사목적인 의미로서의 성찬례 : 교황 회칙 『교회는 성체성사로 산다』와 교황 후속 권고『사랑의 성사』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= Practical and Pastoral Meaning of Eucharist ?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『Ecclesia de Eucharistia vivit』 and 『Sacramentum Caritatis』
- 정풍모,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9.
- 일제시기 「의례준칙」의 혼례 연구
- 김혜영,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, [2012]
-
10.
- 집단기억 재구성 공간으로서 국립민속박물관 사례 연구
- 즈엉 느 카잉 꾸인, 韓國學中央硏究院, [2010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