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김승영의 작품에 나타난 심미적 공간과 기억에 관한 연구 : 기억의 방을 중심으로 = Research on the Aesthetic Space and Memories presented in Kim, Seung Young's work - With a focus on <Memory Room>
- 김승영,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, [2006]
-
2.
- LPS로 자극된 RAW 264.7 대식세포에 대한 6,7-diacetoxycoumarin의 항염증 효과 = Anti-inflammatory Effect of 6,7-Diacetoxycoumarin, an Acetylated Esculetin, on Lipopolysaccharide-stimulated RAW 264.7 Macrophages via Downregulation of MAPK and NF-κB Signaling Pathways
- 최병민,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3]
-
3.
- 국내 자생 생물자원을 활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응용 =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Using Native Biological Resources in Korea
- 박태진,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5]
-
4.
- LPS로 유도된 RAW264.7 대식세포에서 myricetin 아세틸화 유도체의 항염증 활성 : The acetylation-based synthesis of 3,3’,4’,5,5’,7-hexaacetate myricetin and evaluation of its anti-inflammatory activities in LPS-induced RAW264.7 mouse macrophage cells
- 크리스티나, 라마, Sunmoon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, [2023]
-
5.
-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4-methylumbelliferone 유도체인 7-acetoxy-4-methylcoumarin의 멜라닌 생성 효과
- 심지한,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1]
-
6.
- RAW 264.7 대식세포에서 MAPK 및 NF-κB 신호전달 경로를 통한 6,7-Dihydroxycoumarin 유도체의 항염증 효능 연구 = Anti-Inflammatory Activity of 6-O-Phospho-7-Hydroxycoumarin in LPS-Treated RAW 264.7
- 홍혜현,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2]
-
7.
- 미생물 시스템에서의 바이오-리노베이션에 의한 제니스테인 항균 효과 향상 = IMPROVEMENT OF ANTIMICROBIAL EFFECT OF GENISTEIN BY BIO-RENOVATION IN MICROBIAL SYSTEM
- 최해리,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8]
-
8.
- Umbelliferone 파생물에 대한 항염증 효능 연구 : 7-acetoxycoumarin = Anti-inflammatory Activity of umbelliferone derivative: 7-acetoxycoumarin
- 박태진,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0]
-
9.
- Bio-renovation에 의해 생성된 신규화합물 Formononetin 7-O-phosphate 항염증 효능 연구 = Anti-Inflammatory Activity of Novel Formononetin 7-O-phosphate Produced by Bio-renovation
- 김민선,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0]
-
10.
- B16F10 흑색종 세포 및 RAW 264.7 대식세포에서 야생콩잎 (Glycine soja CWS1140)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및 항염증 효과 = Anti-melanogenic and anti-inflammatory effects of wild bean (Glycine soja CWS1140) leaf extract in B16F10 melanoma cells and RAW 264.7 macrophage cells
- 이유정,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