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스마트 폰을 활용한 한국사 수업의 효과 연구 = The Study of Effects of Using Smart Phones in Korean History Classes : With the Example of Changwon M High School
- 이명숙,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3]
-
2.
- 1910년대 日帝의 朝鮮統治 방식 연구 = A study of Japanese Colonial Rule Policies in 1910's
- 이미미,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6]
-
3.
- 南江流域 無文土器時代 扁平片刃石斧 硏究 = A study on the Flat-adze of Plain pottery Age in the Nam River basin
- 전진현, 경남대학교 대학원, [2012]
-
4.
- 마산지역 고등공민학교의 역사적 고찰 = Historical consideration of higher civic school in Masan area
- 이영옥, 경남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5.
- 일제하 통영의 일본인 이주어촌 형성과 경제활동 = The Formation of Japanese Immigration Fishing Village and Economic Activities in Tongyeong under Japanese Colonial Rule
- 김예슬, 경남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6.
- 마산포의 개항과 각국공동조계의 성립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the opening of Masanpo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general foreign settlement in this area
- 김상민, 경남대학교 대학원, [2002]
-
7.
- 한국근대여성교육기관의 실태에 대한 고찰 : 정규 및 비정규교육기관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Korean Female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Modern Period : focusing on the foundation of the formal and the informal educational facilities major of history education
- 손현정,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6]
-
8.
- 해방 정국의 중도파의 좌우합작운동 = Right-and-left joint movement of the center of the liberation government
- 이영주, 慶南大學校, [2017]
-
9.
- 日帝 戰時體制下 朝鮮人 勞務動員에 대한 考察 : 朝鮮內로의 動員과 日本으로의 動員을 中心으로 = A Study on the Labor Mobilization of Choseon People under Japanese Wartime : focused on the mobilization to Inner-Choseon and Japan
- 임현진,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6]
-
10.
- 5-6世紀 山淸·咸陽地域의 土器 樣式 變化 = Changes of the pottery style of the Sancheong·Hamyang in the 5th-6th century
- 박은지, 경남대학교 대학원, [201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