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한국어와 수어(水語)의 음운 체계 대조 연구 : 수어의 한글 표기 시안을 위하여 = A Contrastive Study on the Phonological System between Korean and Sui Language - For drafting the Hangeul transcription of Sui language -
- Wang, Shuting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2.
- 한국어와 우즈벡어의 조어법 대조 연구 = A Contrastive Study on Word Formation in Korean and Uzbek Languages
- Malika, Vakhabova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3.
- 중국 연변 조선족의 언어 사용과 태도 연구 = A Study on Language Usage and Language Attitude of Korean-Chinese in Yeonbyeon, China
- 김해영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4.
- 한 · 중 이중언어 교육정책 비교 연구 : 다문화 가정과 소수민족을 대상으로 = A Comparative Study of Bilingual Education Policy between Korea and China :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minorities
- Li, Shou-guang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5.
- 대구 지역어의 모음 음운 변화에 대한 사회방언학적 연구 = A Sociolinguistic study of phonological variation in vowels of the Daegu dialect
- 이철희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6.
- 한국어 듣기 교재에 나타난 듣기 전 활동 유형 분석 연구 = A Study on Analysis of Pre-listening activities in Korean Listening Textbook
- 오지민, 경북대학교 국제대학원, [2019]
-
7.
- 한·중 동물 속담의 통사·의미적 구조 비교 연구 : ‘개, 소, 말, 호랑이, 닭’을 중심으로 = A study of the syntactic structure and Semantic structure in Korean and Chinese animal proverb
- Tian, Yuan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8.
- 국어 의식 조사의 분석과 정책에 대한 연구 : 국립국어원의 '국민의 언어 의식 조사'를 중심으로 : Based on 'People's sense of language' condu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= A Study on analyzing Korean people's linguistic consciousness and policies
- 박지수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9.
- 한국어 다의어의 문맥적 변이 의미 기술 양상 연구 = A Study of The Descriptive Aspect About Contextual Transferred Meaning On Korean polysemy
- 제갈덕주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10.
- 실체명사의 다의성과 다면성 연구 : 인물명과 동물명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Polysemy and Facets of The Substance Nouns
- 제갈덕주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1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