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巫服의 色과 紋樣에 관한 硏究 : 황해도 무당 김금화씨를 중심으로
- 박정애, 淑明女子大學校, [1991]
-
2.
- 김금화의 굿마당 설계 = Kim Kum-Hha's Gut-Madang design
- 박나영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07]
-
3.
- 황해도 철물이굿 춤 연구 : 김금화씨를 중심으로 = (A) Study on Cholmuji-gut of Hwanghae-do : Focusing on Kim Geum-hwa
- 이노연,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, [1982]
-
4.
- 황해도 무가 연구 : 김금화 내림굿을 중심으로 = (A) Study on a Shaman Song in Hwang-Hae-Do : Centering on a Female Shaman Kim Goem Hwa's Invocation Rite
- 김용기,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2]
-
5.
- 황해도 철무리굿의 춤 연구 : 김금화의 춤을 중심으로 = (A) Study on chulmurigut dance in Hwanghaedo : Focusing on Kim Kum-Wha
- 이도선,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04]
-
6.
- 「萬神」공연을 통한 구조적 분석과 종교적 춤의 상징성
- 유혜정, 세종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, [2009]
-
7.
-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를 위한 이용자 만족에 관한 실증 연구 :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다산정보관을 중심으로 = (A) Empirical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for Evaluating Service Quality - Focused on the Dasan Information Center in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-
- 김금화, 충북대학교, [2008]
-
8.
- 영재프로그램이 초등영재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, 실험 활동에 대한 태도, 창의적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 = The Effects of a Science Program for the Gifted of Elementary Science on Self-Directed Learning Attitude , Attitudes toward Laboratory work and Creative Personality
- 김금화, 아주대학교, [2012]
-
9.
- 욕실공간의 브랜드구축을 위한 디자인전략 연구 : 욕실문화의 디자인비지니스를 중심으로
- 김금화,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, [2010]
-
10.
-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-자녀 간 의사소통, 성역할정체감 및 자기격려의 관계
- 김금화,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