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Robert Edumond Jones의 The Dramatic imagination에 관한 분석적 연구김경열
- 김경열, 한양대학교, [1987]
-
2.
- 대중매체의 패션 관련 영어 외래어 분석
- 한윤선, 충북대학교, [2021]
-
3.
-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FORMANCE OF INDIRECT SPEECH ACTS BY UZBEK AND AMERICAN ENGLISH SPEAKERS IN PRAGMATIC COMPETENCE POINT OF VIEW
- ESHIMOV ELYOR,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8]
-
4.
- 영어 어휘의 모호성에 대한 원형이론의 접근
- 한수경, 강원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5.
- 영어 전치사 for의 의미 연구
- 장세문, 강원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6.
- 영어의 특정 시제와 상에 관한 화용론적 접근 : 원어민화자와 한국인 비원어민화자의 설문조사분석을 바탕으로 = A pragmatic Approach to English Particular Tense and Aspect -Based on the survey-analysis of Native and Korean Non-native speakers-
- 임나현, 강원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7.
- 캄보디아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용어 교육방안 연구 -신체 관용어를 중심으로-
- MERN SOKNA, 충북대학교, [2021]
-
8.
- 《訓民正音》의 ‘淸濁’ 개념에 관한 종합적 연구 =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Concept of
- 정진규,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5]
-
9.
- A STUDY ON “LOVE” METAPHORS IN ENGLISH SONG LYRICS
- PHAMMYPHUONG,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8]
-
10.
- A COMPARATIVE DISCOURSE ANALYSIS OF COHESION AND COHERENCE IN “JANE EYRE” NOVEL BY CHARLOTTE BRONTE AND “JAMILIA” BY CHINGIZ AITMATOV
- Tojimirzaev, Jurabek, 강원대학교 대학원, [2022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