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高麗初期 金石文 書體硏究 = A Study on Calligraphic Style in Early Gorye
- 이혜영,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, [2010]
-
2.
- 中學校 國史敎科書에 나타난 古代 金石文 資料의 效果的 指導方案
- 이미아,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5]
-
3.
- 新羅 金石文의 書誌學的 考察 = (A) bibliographical study of Silla epigraph
- 강혜영,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, [1980]
-
4.
- 百濟의 書藝 : 金石文을 中心으로 = (A) Study on the Calligraphy of Baikjai : Focusing on Baikjai's Geomsuckmun
- 방재호,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, [2003]
-
5.
- 3차원 입체정보를 이용한 문화재 판독 향상기법에 관한 연구 : 금석문 판독을 중심으로
- 최원호, 인하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6.
- 아쇼까(Aśoka, 阿育)의 福祉思想 硏究 = (The)welfare thought of emperor Aśoka
- 서병진, 東國大學校, [2006]
-
7.
- 朝鮮時代 金石學 硏究 = The study of the epigraphy in Joseon dynasty
- 박철상, 啓明大學校, [2014]
-
8.
- 영암사 적연국사비의 재검토
- 이세진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9.
- 新羅 人名尊稱語「智」字 考察 = (A) Study on the letter '智'(CHI) used as an honorific to person's name during the period of the Silla dynasty
- 김성찬, 檀國大學校, [1992]
-
10.
- 6세기 초 신라왕권과 葛文王의 지위 변화
- 양자량,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1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