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,754건 중 1,000건 출력
,1/100페이지
-
1.
- 근대지식의 수용과 소설 인식의 재편
- 구장률, 연세대학교 대학원, [2009]
-
2.
- 채만식과 루쉰의 소설에 나타난 한·중 근대 지식인상 비교 연구 = A comparative study on the modern intellectual impressi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novels of Chae Man-sik and Lu Xun
- 장력원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3.
- 윤치호의 유교인식과 근대 이해 : ‘유교 지식인’의 근대 수용과 비판
- 채수은,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0]
-
4.
- 근대성의 구현체로서 학교 : 시간·공간·지식의 구조화 = School as embodiment of modernity : focusing on time, space and knowledge
- 구수경, 한국교원대학교, [2007]
-
5.
- 근대 계몽기 정체(政體) 담론과 지식인-문인 공공영역의 생성 : 협회·학회 운동과 사대부적 공공영역의 장기 변환을 중심으로 = The discourse of polity (政體) and the creation of intellectuals-literati public sphere in the earl modern Korea : focusing on the modern association·society movement and the long-term conversion of neo-confucian literati public sphere
- 전성규, 成均館大學校, [2018]
-
6.
- 근대 중국지식인의 조선인식과 그 영향 : 황준헌, 양계초, 황염배를 중심으로
- 우명연,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7]
-
7.
- 한국근대 지식인 유형의 역사적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: 한말 ~ 미군정기를 중심으로
- 이명호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01]
-
8.
- 실학담론에 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: 근대성 개념을 중심으로 = Zur wissenschaftssoziologischen Untersuchung des Silhak-Diskurses in Korea : mit dem begriff der Modernitaet
- 이태훈, 全南大學校 大學院, [2004]
-
9.
- 권환의 문학적 생애에 나타난 근대 지식 의미 연구 = A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modern knowledge in Kwon Hwan's literary life
- 전희선, 강릉원주대학교, [2017]
-
10.
- 근대 초기 지식인의 내면 형성과 고백체 소설에 관한 연구 : 현상윤, 양건식, 염상섭을 중심으로 = (A) Study on the confessional novel and formation of intellectuals’ inside in the 1910-20s
- 박은경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0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