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인터랙티브 모션 그래픽노블 확장 연구 : 작품 ‘미소짓는 소녀들’을 중심으로
- 김수원,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, [2014]
-
2.
- 그래픽노블을 활용한 독서치료적 상담의 적용방안 : 학교상담 장면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ibliotherapic Counseling on the Use of Graphic Novel : Focusing on School Counseling Situation
- 손창균,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1]
-
3.
- <왓치맨>을 통한 그래픽 노블 연출 분석 : 본인의 패러디작품 <레전드 오브 흥부>를 중심으로 = Analysis of Graphic novels Direction through <Watchmen>
- 박형진,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, [2014]
-
4.
- 한 초등학교 교사의 삶에 대한 예술적 탐구 : 그래픽노블의 미적 가치를 중심으로 = An Artistic Inquiry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’s the Life : Focusing on the Aesthetic Value of Graphic-Novel
- 하일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5.
- 청년 주거문제에 관한 그래픽 노블 창작과정 연구 : 본인작품 [Where is my shell]을 중심으로
- 장동혁, 홍익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6.
-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다독 자료로서 영어 그래픽노블의 어휘 분석
- 고미정,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[2020]
-
7.
- 까막나라 충신, 불개 : 한국적인 그래픽 노블에 대한 연구
- 최유선, 상명대학교, [2005]
-
8.
- 그래픽 노블을 활용한 만화 창작 활동의 영어 어휘 습득 효과 연구
- 이주영,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22]
-
9.
- 그래픽 노블의 매체적 정체성 연구 : 만화의 역사적 고찰을 중심으로
- 인핑,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4]
-
10.
- 내러티브 관점에서 본 그래픽 노블의 매채확장 적용사례 연구
- 이승현, 단국대학교 대학원, [2009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