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<단군신화>를 활용한 다문화교육 방안 연구 : 중국인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= A Study on The Metho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Using <Dangun Myth> : Targeting Chinese Married Immigrant Women
- 상염, 세명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2.
- 판소리의 근대적 개작과 그 사회적 의미 : -이해조, 채만식, 최인훈의 작품을 중심으로- = Modern Transformation of Pansori and It’s Social Meaning - focused on transformation by Lee Hae-jo, Chae Man-sik, Choi In-hoon’s Works -
- 김범문, 세명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3.
- 한중 <춘향전>과 <옥당춘락난봉부>의 여성 인물 비교 연구 = The Comparison of Female Characters in ChoonhyangJeon and TangchunYuEncountering Adversity but MeetingHer Husband
- 장민, 세명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4.
- 韓中《三國志演義》의 형성과정과 수용양상 = A Study on Formation of <San guo zhi yan yi> in China and Acception into Korea
- 장국정, 세명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5.
- 한 · 중 고전고설 <구운몽(九雲夢)과 홍루몽(紅樓夢)의 인물 비교 연구 = The Comparison of Characters in Korea classical novel Guunmong and China classical novel Hongloumeng
- 왕하, 세명대학교 대학원, [2014]
-
6.
- 1910년대 活字本 古小說 硏究 : 그 改作.新作의 歷史的 性格 = (A)study on Hwalzabon classical novel of 1910s
- 권순긍, 成均館大學校, [1991]
-
7.
- 洪吉童傳의 受容樣相과 時代的 意味
- 권순긍, 成均館大學校, [1983]
-
8.
- 전래동화 ‘콩쥐팥쥐’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
- 김민화, 경기대학교 대학원, [2019]
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