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산림경관 선호 특성에 따른 경관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: 국립수목원을 대상으로 = A Study on the Landscape Management Methods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 Preference of Forest Landscape : Focused on Korea National Arboretum
- 이연희, 국민대학교 대학원, [2008]
-
2.
- PCSI 2.0 모형을 활용한 수목원 이용객의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: 국립세종수목원을 대상으로 = A Study on Service Satisfaction of Arboretum Visitors Using the PCSI 2.0 Model : Focused on the National Sejong Arboretum
- 권희원, 경북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3.
- 수목원 체험학습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인식과 태도 및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효과 : 국립수목원을 중심으로
- 전정화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09]
-
4.
- Monitoring and Analysis of Soil Moisture Variation at a Hillslope in Gwangneung National Arboretum = 광릉국립수목원 경사사면에서의 토양수분변화의 관측과 분석
- 김도훈, 부산대학교 대학원, [2007]
-
5.
- 해안 어부림[魚付林]과 국립 새만금 수목원 설계 : Storytelling 기법의 도입
- 박혜연,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3]
-
6.
- 소백산국립공원 단양지역의 특산 및 희귀식물 분포 연구 = Study on distribution of endemic and rare plants in Dan-yang area of Sobaeksan National Park
- 조효원,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3]
-
7.
- 大雅樹木園 利用滿足度 評價에 關한 硏究 =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Visitors' Satisfaction with Dae-a Arboretum
- 홍두진,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, [2007]
-
8.
- 무등산국립공원 담양 지구의 식물상과 생태계교란 식물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the flora and its introduced disturbing plants in Damyang are of Museungsan National Park
- 이수홍, 세명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9.
- 공립수목원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: 물향기수목원을 중심으로 = A programming for Improvement of Provincial Arboretum : Specially referred to the Mulhyanggi Arboretum
- 김성수, 경원대학교 환경대학원, [2010]
-
10.
- 수목원을 활용한 생태학습장 개선방안 = (A) Study in the improvement of ecological learning center utilizing arboretum
- 김민정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0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