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18世紀 淸朝 文人들의 對朝鮮 認識 : 阿克敦의 東遊集과 奉使圖를 中心으로
- YANG ZENGYAO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18]
-
2.
- 역사드라마에 나타난 역사왜곡의 문제점 분석
- 박재모,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3.
- 朝鮮後期 觀象監 官員의 使行 활동
- 구민우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20]
-
4.
- 한국전쟁 관련 교과서 비교 분석 : 남·북한, 미국, 중국 교과서를 중심으로 = Comparative analysis on the textbooks regarding the korean war
- 박은영,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7]
-
5.
- 16세기 '天文' 기록과 災異論 : <<朝鮮王朝實錄>> 天文 기록의 재인식
- 경석현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12]
-
6.
- 口述 資料를 活用한 歷史 授業 方案 : 濟州 4·3 事件을 中心으로 = Method of history lesson utilizing oral history : focusing on 4·3 Jeju massacre
- 박영기,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0]
-
7.
- 朝鮮前期 朱子學的 風水地理 認識의 形成과 展開
- 최전경,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1]
-
8.
-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역사교육의 문제 분석 = The Issue Analysis about History Education in Curriculum Revision in 2007
- 김영재,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9.
- 광해군 대 '弊政'에 대한 재검토 : 재정 문제 타개책을 중심으로
- 김진실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10.
- 조선후기 재이론(災異論)의 변화 : 이론체계와 정치적 기능을 중심으로
- 경석현, 경희대학교 대학원, [201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