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 유형, 일과 삶의 균형, 원장-교사 교환관계, 직무배태성의 구조적 관계
- 진정선,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4]
-
2.
-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교사-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: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
- 이소영,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3]
-
3.
- 통합교육 장애전담교사가 인식한 조직문화, 교사-부모 파트너십, 놀이지원역량, 교사-유아 상호작용의 구조적 관계: 전공에 따른 조절효과
- 황연자,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4]
-
4.
- 보육교사의 인성이 교사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=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' personality on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
- 김옥경, 안양대학교, [2019]
-
5.
- 만3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교사 지도에 관한 질적 연구 = A qualitative research on prosocial behaviors of three-year-old children and guidance of teachers
- 이경노, 안양대학교, [2017]
-
6.
- 어린이집 원장의 감성리더십, 교사의 감성지능, 교사효능감, 교사-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= The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center director's emotional leadership, teachers' emotional intelligence, teacher efficacy,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
- 홍자영, 안양대학교, [2015]
-
7.
- 유아교사가 인식한 전문성 지원환경, 행복플로리시, 교사-부모 파트너십, 교사-유아 상호작용의 구조적 관계
- 박덕숙,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3]
-
8.
- 보육교사의 인권감수성과 개인-직무 적합성 및 조직지원 인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: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=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' human rights sensitivity, Person-Job Fit (PJF),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: focused on the moderation effects of self-esteem
- 신선미, 안양대학교, [2019]
-
9.
- 지능신념, 목표유형, 귀인행동, 정서반응 간의 관계 : Dweck의 동기이론을 중심으로 = Relationships between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, goal orientations, attribution behaviors, and affective responses based on Dweck's motivational theory
- 임미희, 안양대학교, [2017]
-
10.
- 초등학교 진로교육에 대한 학무보와 교사의 인식과 지지행동 연구 = Awareness and support of parents and teachers on career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
- 박정숙, 안양대학교, [2017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