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'교양 프로그램' 신화의 구성과 해체 : KBS 교양 프로그램 생산과정에 대한 미디어 사회문화사적 접근
- 안진,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[2017]
-
2.
-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 분석 및 발전방향탐색
- 송경섭, 경기대학교, [2010]
-
3.
- 캐나다 이누잇(Inuit) 전통공예 디자인의 조형의식 연구 : 한국 전통공예 디자인과의 조형의식 비교를 중심으로 = (A) comparative study on the formative consciousness between Canadian inuit and Korean traditional crafts design
- 백승정,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02]
-
4.
- 한국의 차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: 전문가 양성 교육기관을 중심으로
- 이수민, 계명대학교 대학원, [2008]
-
5.
- 한국과 프랑스의 문학 교과서 비교 연구 = (A) Comparative study of literature textbook
- 김지영,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[2004]
-
6.
- 한국 현대 독서문화의 형성 : 1950~60년대 외국 서적의 수용과 ‘베스트셀러’라는 장치
- 이용희, 성균관대학교, [2018]
-
7.
- 이주 여성 관련 정책 및 서비스에 관한 연구 : 한국과 대만 중심으로
- 조원휘, 대전대학교, [2019]
-
8.
- 한국 역사출판의 성공요인 연구 : 유홍준의 『나의 문화유산답사기』를 중심으로 = (A)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Korean History Publication
- 전영랑,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, [2006]
-
9.
- 영화 <황진이>의 표현기법의 변용에 관한 연구 = Study on the change process of the expressive technique in Korean film, Hwang Jin Yi
- 인수형,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13]
-
10.
- 다문화교육 관점에서 본 중학교 역사(상)교과서 내용 분석
- 하성희,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3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