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‘스포츠스태킹’ 활동이 특수학교 전공과 지적장애 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= The Influence of ‘Sport Stacking’ on Attention of the Majored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Special School
- 김일갑,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6]
-
2.
- 즉흥연주 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= The Effects of Improvisation Activities on the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
- 이경화,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3.
- 장애유아 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특수교육보조원 활동내용 및 업무능력에 관한 요구분석 = Qualitative Analysis on Activity Details and duty ability of Paraprofessionals Supporting the Inclusion for Disabilities Education Early Childhood
- 김혜원,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4.
- 장애 반편견 교육프로그램이 일반유아의 장애 태도에 미치는 영향 = The Effect of the Anti-Bias Educational Program toward Disability on Young Children's Disability Attitude
- 김홍신,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5.
- 유아특수학교 방과후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= Comparing the Recogni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bout After School Education Activities for Early Childhood Special School
- 김주옥,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6.
- 사립유치원에서의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원장과 교사의 지원요구 = A survey on the Support Needs difference between the principal and the teacher in private kindergarten for Inclusive Education of early children with Disabilities
- 임송희,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7.
- 무상토큰 반응대가기법이 ADHD 위험 유아의 수업방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= The Effect of the Free Token Response Cost Technique on the Class Obstacle Behaviors of Young Children at Risk with ADHD
- 이은정,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8.
- 특수교육보조원 역할과 자잘에 대한 유치원통합학급교사의 인식 = Awareness of kindergarten Integrated Class's Teachers
- 김미선, 공주대학교특수대학원, [2007]
-
9.
- 배움의 공동체 수업을 적용한 통합교육 실행연구 = Action research on inclusive education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class
- 김명희, 공주대학교, [2019]
-
10.
-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
- 윤진희,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5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