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학부모만족도 조사연구 = A Study on Parents' Satisfaction on the Running of After-School class programs in the Elementary School
- 홍성숙,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
-
2.
- A Non-technical Dimension of the Pedagogical Role of Teachers: Based on Max van Manen’s Phenomenological Pedagogy = 교사의 교육적 역할의 비기술적 차원: 막스 반 매넌의 현상학적 교육학을 중심으로
- 스텔라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3.
- 교사-학생 관계의 해방 교육적 의미탐색 : 랑시에르의 ‘지능의 평등’ 개념을 중심으로 = Redefining the Meaning of Pedagogical Relationship : based on Ranci?re’s Concept of ‘the equality of intelligence’
- 배춘환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4.
- 주체화를 위한 교육기술(educational technology)로서 푸코의 파레시아 개념 고찰 = Educational Reinterpretation of Foucault's Concept of Parrhesia as an Educational Technology for Subjectivation
- 임유리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5.
- 1969년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도 도입과정 연구 = The study of the process of introduction of Middle School Admission System without Examinations in 1969
- 박수환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6.
- 베넷 리머의 경험중심 음악교육철학 재해석 : 한나 아렌트의 탄생성과 세계성 개념에 기대어 = A Reinterpretation of Bennett Reimer’s Experience-Based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/Synergistic Approach: Drawing Upon Hannah Arendt’s Concepts of Natality and Worldliness
- 박민형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7.
- 지식과 학생의 관계에 대한 탐색 : 인식론적 관계에서 실존적 관계로 = A Study on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nd their Knowledge: from epistemological to existential relationship
- 홍순형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8.
- ‘불면 상태에서의 학습’의 교육적 문제와 ‘거주’의 교육적 가치 : 레비나스의 개념을 중심으로 = The Educational Problems of 'Learning under Insomnia'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'Dwelling'
- 김태영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9.
- 훈육의 목적으로서 Durkheim의 ‘사회적 마음’에 대한 재고찰 : 교사의 매개적 역할을 중심으로 = Revisiting Durkheim's 'social mind' as educational objective of discipline: Centering on the mediating role of the teacher
- 김한별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10.
- 1950〜1980년대 한국 여자상업고등학교 연구 = History of Girls’ Commercial High School in Korea from the the 1950s to the 1980s
- 후지타 타다요시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