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ts: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= 청소년기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
- 김채윤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2.
- The risk for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cohort = 국가 대표 코호트 자료를 이용한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정신병리 공병 위험
- 임수정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1]
-
3.
- The Mediating Effect of Growth Mindse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’ Optimism and Grit = 청소년기 낙관성과 그릿의 관계에서 성장 마인드셋의 매개효과
- 표다솔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3]
-
4.
- The Moderating Effects of Maternal Behaviors on Infant Fine-grained Temperament in the Development of Toddler Behavior Problems = 영아기질과 걸음마기 문제 행동 간 종단적 관련성: 엄마 행동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
- 이효진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17]
-
5.
- Optimism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' Stress and Intelligence : A Study Using the K-WISC-V = 청소년기 스트레스와 지능 간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: K-WISC-V를 중심으로
- 박윤아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22]
-
6.
- 자극의 세부특징값의 빈도와 평균치가 범주형성에 미치는 효과 : 범주형성에 관한 발달심리학적 일연구 = (The) effect of the frequency and averaging of feature value in category formation
- 곽금주, 서울大學校 大學院, [1985]
-
7.
- 공격영화시청이 아동과 청소년의 사회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= (The)impact of aggressive film on th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of the children and adolescents
- 곽금주, 연세대학교, [1992]
-
8.
- 우리나라 영상매체와 청소년비행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= (A) Study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Image-Medium and Juvenile Delinquency in Korea
- 서은경, 京畿大學校 敎育大學院, [2003]
-
9.
- 어머니의 대상관계 및 양육태도가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
- 박종옥,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, [2005]
-
10.
- 초등학생의 부, 모, 또래 애착과 집단따돌림 경험과의 관계
- 박소현,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8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