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36건 중 436건 출력
,1/44페이지
-
1.
- 한국의 과거사 정책에 대한 비교 연구
- 김혜림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16]
-
2.
- 과거사 관련 위원회의 기록물 활용 방안 연구 = A Study on Method of Records practical use for Truth Committee
- 이인주, 목포대학교 대학원, [2009]
-
3.
- 과거사 규명을 위한 조사기록 관리방안 연구: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를 중심으로
- 김정희, 명지대학교, [2007]
-
4.
- 과거사 사건의 소멸시효에 관한 연구
- 이소영, 서울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5.
- 대한민국의 과거사청산경험과 통일 후 북한 불법청산에 활용가능성 = South Korea's experience with past liquidations and Possibility of utilization for illegal liquidation of North Korea after reunification
- 박범영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24]
-
6.
- 전환기 정의 관점에서 본 경찰청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 = The Korean National Police Historical Truth Commission from a Transitional Justice Perspective
- 박성희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25]
-
7.
- 매스 미디어의 강효과이론 (Powerful Effect Theory)에 관한 연구 : 국가 보안법과 과거사 진상규명법안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Powerful Effects Theory of Mass Media
- 이양구,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, [2005]
-
8.
-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초국가주의 아카이브즈 구축의 의미 : 한 ·일 과거사 청산과 동아시아 아카이브즈 기초 마련을 위하여
- 김오미,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, [2015]
-
9.
- 구술기록의 수집정책에 관한 연구 : 과거사 진상규명 관련 위원회의 면담조사기록을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Collecting Policy of Oral History Archives : Focused on Interview-Based Investigative Records of Past Affairs-Related Commissions
- 조용성,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, [2009]
-
10.
- 아트워크를 통한 ‘부담스러운 과거사’의 재현 : 제주4·3평화기념관 상설전 = The Representation of the 'Burdensome Past' through artwork : Permanent Exhibition at the Jeju 4·3 Peace Memorial Hall
- 김나연, 고려대학교 대학원, [2024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