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한국 고전 문헌의 장미 속(Rosa spp.) 식물 한자명 사용 분석 = Analysis of names of Rosa spp. used in the literatures in Koryo and Chosun Dynasty
- 김소영, 고려대학교 생명환경과학대학원, [2019]
-
2.
- 고전읽기를 통한 나의 언어 찾기 : 말문 터짐에 대한 자기이해
- 최인호,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1]
-
3.
- 영화<방자전>을 활용한 <춘향전>의 지도 방안 연구 = A Study of teaching method of Chunhyangjeon by using Movie Bangjajeon
- 김희진,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3]
-
4.
- 포스트모던소설로서의 『향수』 연구 = Eine Untersuchung uber den Roman 『Das Parfum』 aus der Perpektive der Postmoderne
- 이승이, 서강대학교 대학원, [2000]
-
5.
- 미스 반 데어 로에 건축의 외면에서 나타난 몸체와 정신에 관한 연구 = A Study on the Corporality and Spirit of Surface in the Works of Mies van der Rohe
- 이병욱, 한양대학교 대학원, [2007]
-
6.
- 뷔페 레스토랑 식공간 연출과 코디네이터 역할이 고객의 심리적 반응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= The Effects of dining space creation and coordinators' role on psychological customer responses and purchasing intention in buffet restaurants
- 강원철, 순천향대학교 대학원, [2013]
-
7.
- 「雪國」에 나타난 川端康成의 文學的 特性
- 신진철,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, [2000]
-
8.
- 청전 이상범의 작품 연구
- 김한빛, 군산대학교, [2015]
-
9.
- 치유 개념을 적용한 실버타운 환경 디자인 연구
- 갈환환,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2]
-
10.
- 한·중 난초시의 난초 관련 소재 비교 연구 = The Comparative Study Connected with an Orchid of Korea and China
- 장설기, 가천대학교 대학원, [2016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