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.
- 『朝鮮上古史』를 통해 본 신채호의 고구려사 연구 방법과 인식에 대한 연구
- 조선옥, 단국대학교 대학원, [2019]
-
2.
- 한국과 중국 역사교과서의 서술내용 비교 연구 : 고구려사 서술을 중심으로
- 이가빈,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7]
-
3.
- 한·중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고구려사 서술과 내용 분석 = Koguryo history describing status and content analysis of Korea and China's junior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
- 양혜진,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0]
-
4.
- 남북한 중등학교 국사 교과서 비교 분석 : 고구려사(高句麗史)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= A Comparative Study of South and North Korean History Textbooks : Focus on the Content Related to Goguryeo History
- 김제호,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, [2006]
-
5.
- 중국의 동북공정과 고구려사 인식 = The History of Goguryeo in China's Northeast Asia Project
- 김수현,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7]
-
6.
- 중국의 동북공정에 관한 연구 : 고구려사 귀속과 조선족 정체성문제를 중심으로 = A Study on the Northeast Project of China
- 이주경, 창원대학교, [2010]
-
7.
- 초기 고구려사 신연구 : 고구려의 건국연대와 초기 고구려의 중심지와 서쪽 강역을 중심으로 = New Study on Early Goguryeo History
- 박종민,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, [2024]
-
8.
- '동북공정'의 고구려사 왜곡과 역사 교육적 대응 방안
- 최연희,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14]
-
9.
- 한국│북한│중국의 역사교과서에 나타난 고구려사와 발해사의 귀속문제 = (The)Matter of possessing Goguryeo and Balhae history in chinese, North and South Korean history textbooks
- 김봉석,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4]
-
10.
- 남북한 중학교 국사교과서의 고구려사 서술과 인식 = Koguryo History Described and Recognized in South and North Korean Middle School History Books
- 배유정,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[2006]